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강릉 맛집
- 태국여행
- 세종시 맛집
- 스몰웨딩
- 스페인 여행
- 오딩
- 방콕여행
- 제주 맛집
- 제주여행
- 맛집
- 결혼준비
- 서울 여행
- 서울 맛집
- 부산 맛집
- 홍콩 맛집
- 부산여행
- 전주 맛집
- 제주 여행
- 공주 여행
- 세종 맛집
- 스웨덴 여행
- 전주 여행
- 싱가포르 맛집
- 스톡홀름 패스
- 스톡홀름 여행
- 싱가포르 여행
- 바르셀로나 여행
- 영화
- 공주 맛집
- 홍콩여행
- Today
- Total
목록
반응형
IT (10)
반응형
우리라이프
나는 GUI디자이너, UI/UX 기획자가 아닌 한낱 개발자이다.그런데 어떤 우연한 계기로 모바일 UI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야할 일이 생겼다.내가 사용해야할 GUI 그래픽은 지도, 메신저, 각종 아이콘, 이미지를 로드하여 쓸 수 있는 것이었다.처음에는 Fluid UI를 사용하여 그렸는데, 이 온라인 툴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로드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들어서 다른걸 찾아보았다.그러다가 접하게 된 온라인 UI 구성 툴이 카카오에서 나온 Kakao Oven이다. Kakao Oven https://ovenapp.io/ 1. 카카오 오븐은?HTML5-Powered Free Web/App Prototyping Tool by Kakao 이며, 카카오에서 카카오 UI를 기획하기 위해 개발한 툴이다.카카오 내에서만 쓰다가 많은..
VR - 가상현실, AR - 증강현실, MR - 융합현실 요즘에 흔하게 접할 수 있는 IT 용어이다. 1. VR 가상현실VR은 Virtual Reality의 약자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만들어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실제 주변 환경 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인간/컴퓨터 간 인터페이스라고 정의한다. 한마디로 현실세계를 차단한 완벽한 디지털환경의 구축이다.우리는 특수 고글을 쓰고, 가상 현실 체험을 하고 있다.360도 화면으로 구성된 특수 고글은 양쪽 눈의 착시로 뇌에 착각을 일으켜 가상현실을 표현한다. 이미 예전부터 우리는 이 착각을 이용했었는데, 그것은 일명 매직아이라고 불렀다. 눈을 게슴츠레 떠서 초점을 분산시키면 보이지 않던 숨겨진 그림을 보는 경험을 했을..
요즘 기술면접을 보면 자주 물어보는 질문 중 하나는Android에서 Context가 무엇인가? 와 Intent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이다.1. Context가 무엇인가?일단 Android Developer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Context에 대한 정보이다.Contextpublic abstract class Context extends Object java.lang.Object ↳android.content.Context Known Direct SubclassesContextWrapper,MockContext Known Indirect SubclassesAbstractInputMethodService,AccessibilityService,AccountAuthenticatorActivity,Activit..
Android Application을 개발하면서 싱글스레드로 모든 개발을 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Android는 Main Thread에서 모든 UI를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가공이나 복잡한 계산, 통신은 다른 스레드를 생성해서 개발해야한다. 1. 스레드와 프로세스의 차이점1) 프로세스 : 운영체제에서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데, 그 때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인스턴스를 프로세스라고 한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에 대한 각각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므로, 한 프로세스를 공유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주소공간, 파일, 메모리 등을 할당 받는다.2) 스레드 : 한 프로세스에서 동작하는 여러 실행의 흐름으로 프로세스 네의 주소공간이나 자원 등을 대부분 공유하면서 실행된다. 한 프..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하는데 기본이 되는 설계 원칙인 SOLID에 대하여 알아본다. 객체 지향의 기본 내용은 캡슐화, 다형성과 추상화, 조립을 통한 재사용 등이 있다. SOLID 설계 원칙 5가지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SRP): 클래스는 단 한 개의 책임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반하면 연쇄적인 코드 수정을 유발 할 수 있다.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 OCP):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한다.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으면서 그 기능을 사용하는 코드는 수정하지 않는다. (코드 유연성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추상화, 캡슐화를 통해 알아보자 - interface) 이를 위반하면 다운캐스팅을 하고..
1. 절차 지향절차지향(Procedural Oriented) : 함수나 프로시저(procedure)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법으로 데이터를 중심으로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프로시저들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문제점 -> 데이터 타입이나 의미를 변경해야 할 때, 함께 수정해야하는 프로시저가 증가한다.-> 같은 데이터를 프로시저들이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2. 객체 지향객체 지향(Object Oriented) : 데이터 및 데이터와 관련된 프로시저를 객체라고 불리는 단위로 묶어, 객체는 프로시저(오퍼레이션, 메서드, 함수)를 실행하는데 필요한만큼의 데이터를 가지며, 객체들이 모여 프로그램을 구성한다.클래스(Class) - 같은 종류(또는 문제 해결을 위한)의 집단에 속하는..
H.264H.264 코덱은 비디오 블록 단위 움직임 보상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으로 동영상 논화, 압축, 배포를 위한 방식등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맷이다.Codec Specification = VCL(Video Coding Layer) + NAL(Network Abstract Layer)VCL은 실제 H.264 압축된 데이터를 나타내며, VCL 데이터는 NAL Unit을 통해 외부와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게 된다. Network Abstraction Layer Unit TypesF : 1bit (forbidden_zero_bit) 1이면 위반NRI : 2bits (nal_ref_idc) 00은 NAL 유닛의 reference picture를 재구성 하는데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냄Type ..
Android 환경에서 개발하면서 미리 짜놓은 소스파일과 리소스 파일을 공용으로 사용할 일이 많습니다. Android Studio 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소스 파일과 리소스 파일을 링크하여 사용하는 방법. 1. build.gradle 작성 (App 폴더 내) Build.gradle android { sourceSets.main{ java.srcDirs += 'src/main/../../../../../../common/src/main/java' //src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src/main을 붙여서 추가한다. res.srcDirs = ['src/main/res', 'src/main/../../../../../../common/src/main/res'] //res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src/main을..
RTP 프로토콜에 대하여 알기위해 작성. RFC 3551(Standard 65, RTP Profile for Audio and Video Conferences with Minimal Control)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후에 G.711과 H.264를 정리할 예정이다. Introduction RTP :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는 음성, 영상 또는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응용서비스를 위한 end-to-end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이다. RTP는 RTCP(Real-time Control Protocol)에 의해 데이터의 전달 상황을 감시하며, 최소한의 제어 기능과 미디어 식별 기능을 제공한다. RTP..
RTSP 스트림 데이터를 전송받아 AVI 파일로 저장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전처리로 AVI 파일 구조를 분석하였다. Microsoft AVI 파일 포맷 오디오/비디오 순서의 캡춰, 편집, 재생을 실시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되는 RIFF 파일 사양이다. 일반적으로, AVI 파일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의 스트림이 복수 포함된다. 대부분의 AVI 순서는,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의 양쪽 모두를 사용한다. 단순한 AVI 순서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만을 사용해, 오디오 스트림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AVI 파일 구조 RIFF 파일 사양 RIFF(Resource Interchange File Format, 리소스 교환 파일 형식)는 동영상 재생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내부 데이터 포맷 AVI Mai..